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시트디자이너가 공간을 이야기하는 이유

만약 대학교 신입생이 되어 지방에서 서울로 상경해 홀로 나만의 작은 공간을 갖게 된다면, 혹은 첫 월급으로 부모님의 잠옷을 사드리며 부모님의 뿌듯한 표정을 보게 된다면, 회식을 마치고 밤늦게서야 침대에 눕거나, 오랜만에 만난 동창들과 맥주 한 잔을 들이킬 때…

 

이 모든 순간을 상상해 본다면, 우리가 편안함을 느끼는 건 우리의 모든 오감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될 겁니다. 시골길 모퉁이 한 켠에 차를 대고, 잔잔한 바람과 새소리, 입안에 문 사탕, 나를 기다리고 있을 가족들을 생각하며 안에서 시트를 한껏 젖히고 편안하게 눈을 감아 볼까요.

차 안에서도 푸른 종소리는 울린다.

레벨5 완전자율주행차의 실내는 주행과 전혀 상관없는 공간으로 탈바꿈합니다

사람은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 개별 감각을 통해 독립적으로 느끼는 것 같지만, 사실은 이 모든 감각이 어우러져 종합적으로 '편안함'을 인식하고 만족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공감각적인 편안함’은 한 인간이 온전히 느낄 수 있는 모든 감각을 동원한 편안한 느낌이죠. 자율주행차 시대가 오면 이제 차 안에서 푸른 종소리가 울리듯, 인간의 감각은 훨씬 더 높은 수준의 해방감을 느낄 것이라 확신해요. 그간 '목적지를 향해 달려가기 위해 앉아있던 공간'에서 '또 다른 제2의 집'으로서 말이죠.

인간은 늘 시간과 장소로부터 해방을 꿈꿔왔고, 그 연장선상에 자동차가 있었습니다. 더 빠르게, 더 안전하게, 더 편안하게 이동하며 시간과 장소의 영속성을 해결하려 했습니다.이 세상 모든 것들이 움직이면서 쉽게 해결될 수 있다면 우리는 시간을 벌 수 있습니다 .인간의 개입이 전혀 필요 없는 완전자율주행 레벨 5 수준이 되면 기존의 공간과 부동산에 대한 개념도 모조리 바뀔지도 모릅니다. 이제 움직이는 공간으로서 인간의 경험이 한 층 더 강조될 겁니다. 올해 초 CES에서 토요타는 'e-4me'란 콘셉트카를 통해, 이동하는 동안 공간이 미용실, 드레스룸, 음악 스튜디오 역할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어요. 'e-Care'라는 이름의 움직이는 병원, 'e-Charger'라는 이름의 이동식 충전 모빌리티도 있었죠.

이제 모빌리티는 공간이 된다

미래에는 더욱 다양한 PBV가 등장할 것입니다 (참조. HMG저널)

완전자율주행 시대가 오면 일단 시트는 훨씬 가벼워질 거예요. 지금도 시트 프레임에서부터 가죽에 이르기까지 경량화에 대한 시장의 요구가 계속해서 높아지는 것이 피부로 느껴집니다. 이와 동시에 안전성은 절충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디자인 담당자로서의 고뇌도 더욱 강도 높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미래 모빌리티를 생각하면 발전 가능성도 무궁무진할 겁니다.

저는 지금까지 G80이나 GV80과 같은 세단이나 소형SUV의 시트 디자인을 주로 담당해 왔지만, 미래 모빌리티의 설계를 위해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이 필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지금은 먼 미래처럼 느껴지는 하늘을 잇는 UAM(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모빌리티)이나 자율주행 셔틀과 같은 PBV(Purpose Built Vehicle, 목적 기반 모빌리티)과 같은 새로운 모빌리티 공간을 향해 나아갈 것이고, 그러기 위해서 현실적으로 지금은 상용차, 전차, 버스 등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 공간을 디자인하는 경험을 쌓아 나가고 싶습니다. 양산은 아직 하지 않았지만, 이전에 소형트럭과 지하철 시트를 디자인 목업(mock up)을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모든 과정이 새롭고 배운 점도 많았습니다.

 

앞으로 변하거나, 변하지 않을 것들

자동차가 공간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자동차 시트에 대한 대중의 기대치와 안목은 하루가 다르게 높아지고 있음을 느껴요. 수많은 언론매체에서 기사와 영상으로 전문적인 품평 또한 쏟아지기 마련이고요. 부담감과 의욕이 동시에 생기는 시대를 살고 있죠. 매너리즘에 빠질 수가 없기에 커리어적으로 긍정적이라 생각해요(웃음).

이에 발맞춰 최상급 시트에 대한 가치, 럭셔리함에 대한 기준도 시대에 따라 변해가고 있어요. 최근 GV80 앞 좌석을 디자인하면서 ‘럭셔리함의 근본은 무엇일까?’라는 생각을 쭉 풀어나갈 수 있었어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얻은 제 나름의 답은 '심플하면서 동시에 고급스러워야 한다.'였죠. 과거에는 다양한 요소에 크롬 장식이나 화려한 라인 등 직관적인 표현 방식이 유행이었다면, 이제는 한층 더 정제되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변하고 있거든요. 예를 들자면 GV80 시트를 개발할 때 불필요한 장식적인 선은 최대한 덜어내고 시각적 볼륨을 풍성하게 표현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어요. 명작의 반열에 오른 가구가 화려함보다는 잘 다듬어진 볼륨과 라인을 통해 유행을 타지 않는 고급스러움을 전달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해요. 

마음속 명언 “이 또한 지나가리”

현대트랜시스가 개발한 자율주행 3세대 컨셉시트

우리 회사에서는 매년 자율주행차 컨셉시트를 선행개발해 왔는데, 지향하는 방향은 분명해요. 승객의 편안함이죠. 여기서 말하는 편안함이란 그 시대의 요구사항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종합적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대에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는 사람들의 체형, 어떠한 상황일 때 사용자가 ‘안락하다’라고 느끼는 지 등, 실내 공간에 대한 의식 변화를 총체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다양한 요청에 따라 기준이나 컨셉을 변경해 적용할 수 있는 유연함이 늘 있어야 해요. 디자인이라는 영역 자체가 그렇듯이요. 함께 일하는 고객사에 따라, 차종에 따라, 시기에 따라 아예 다른 기준이 나오기도 해요. 

예를 들면 제네시스의 디자인에서는 개선사항이었던 항목이 다른 글로벌 고객사가 가장 원하는 요소이기도 했어요. 때로는 "기분 좋은 R값으로 해 주세요.", "금방 하실 수 있으시잖아요."와 같은 숨이 턱 막히는 요청에도 끄떡없이 최선의 결과를 도출해 내어야 하는 뚝심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렇기에 "이 또한 지나가리"라는 이 짧은 문장이 저에게는 가장 힘이 될 때가 있어요. 정말 힘들어도 그 시기는 결국 지나가더라고요. 그 후에 더 큰 파도가 올 때도 있긴 하지만 말이죠(웃음)

 

자동차 시트디자인 전문가 장지혜 책임연구원은…

- 2012년부터 동탄 시트연구센터에서 자동차 시트 디자인을 연구해 오고 있다. 


- 매해 자율주행차 컨셉 시트 프로젝트에 참여해 디자인 선행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GV80을 비롯한 제네시스 브랜드와 소울, 북미 스타트업 차종 시트 디자인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 2012년 신입사원 멘티로서 최우수 활동상을, 2017년에는 신입사원을 위한 멘토로서 최우수 활동상을 수상했다.


- 회사에서는 T.크리에이터 1기 활동을, 퇴근 후에는 유튜브 시청과 피아노 연습을, 주말에는 긴 잠을 자는 것이 소확행.


에디터 전략지원팀 김우현 매니저
사진 안용길, HMG저널, Pixabay